아드리앙 마나리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드리앙 마나리노는 프랑스의 테니스 선수이다. 2004년 프로로 전향하여, 2019년 리베마 오픈에서 첫 ATP 투어 우승을 거두었다. 2023년에는 아스타나 오픈에서 우승하며 통산 4번째 우승을 달성했고, 2024년 1월에는 남자 단식 랭킹 20위 안에 진입했다. 수비적인 베이스라이너이자 카운터펀처로서, 2015년 이후 10명의 톱 10 선수들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남자 테니스 선수 - 아르노 디 파스쿠알
아르노 디 파스쿠알은 프랑스의 전 프로 테니스 선수로, 1997년 US 오픈 주니어 남자 단식 우승,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남자 단식 동메달(로저 페더러 꺾음)을 획득했으며, ATP 투어 단식 1승 1패, 그랜드 슬램 프랑스 오픈 4회전, ATP 마스터스 1000 시리즈 함부르크 유러피언 오픈 8강이 최고 성적이다. - 프랑스의 남자 테니스 선수 - 리샤르 가스케
프랑스 프로 테니스 선수인 리샤르 가스케는 뛰어난 원핸드 백핸드를 주무기로 하며 "테니스의 모차르트"라는 찬사를 받았고, 윔블던과 US 오픈 4강 진출, 런던 올림픽 복식 동메달, ATP 투어 단식 16회 우승, 데이비스 컵 우승 등의 업적을 달성했다. - 이탈리아계 프랑스인 - 쥘 비앙키
프랑스 자동차 경주 선수 쥘 비앙키는 다양한 주니어 포뮬러 시리즈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고 2013년 마루시아 F1 팀에서 활동하며 2014년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팀 최초 포인트를 획득했으나, 같은 해 일본 그랑프리 사고로 사망했다. - 이탈리아계 프랑스인 - 마리 안 망시니
마리 안 망시니는 마자랭 추기경의 조카로서 프랑스 궁정에서 살롱을 운영하며 문인들을 후원하고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남편 독살 혐의로 재판을 받았으나 루이 14세의 관대한 처분으로 사회에 복귀한 후 이탈리아 로마에서 사망한 17세기 프랑스의 문화 후원자이다. - 1988년 출생 - 유병재
유병재는 1988년생 대한민국의 코미디언, 방송 작가, 배우, 감독으로, 《SNL 코리아》 '극한직업' 코너를 통해 이름을 알렸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독특한 유머 감각과 재치있는 입담으로 인기를 얻고 글로벌 시장에도 진출,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1988년 출생 - 황광희
황광희는 1988년생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방송인으로, 남성 그룹 제국의 아이들 멤버로 데뷔하여 솔로 활동과 예능, 광고, 연기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기네스 세계 기록을 달성했다.
| 아드리앙 마나리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아드리앙 마나리노 |
| 로마자 표기 | Adrian Mannarino |
| 별칭 | Manna (만나) |
| 국적 | 프랑스 |
| 거주지 | 발레타, 몰타 |
| 출생일 | 1988년 6월 29일 () |
| 출생지 | 소와지수몽모랑시 |
| 키 | 180cm |
| 프로 데뷔 | 2004년 |
| 플레이 스타일 | 왼손 (양손 백핸드) |
| 코치 | Erwann Tortuyaux |
| 웹사이트 | adrianmannarino.fr |
| 경력 | |
| 총 상금 | US $12,996,560 |
| 단식 전적 | 303승 343패 |
| 단식 타이틀 | 5회 |
| 단식 최고 랭킹 | 17위 (2024년 1월 29일) |
| 단식 현재 랭킹 | 54위 (2024년 11월 4일) |
| 복식 전적 | 46승 119패 |
| 복식 타이틀 | 0회 |
| 복식 최고 랭킹 | 73위 (2016년 5월 2일) |
| 복식 현재 랭킹 | 869위 (2024년 11월 4일) |
| 그랜드 슬램 단식 성적 |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4회전 (2022, 2024) |
| 프랑스 오픈 | 2회전 (2014, 2016, 2019) |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4회전 (2013, 2017, 2018) |
| US 오픈 | 3회전 (2013, 2014, 2017, 2020, 2023) |
| 그랜드 슬램 복식 성적 | |
| 오스트레일리아 오픈 | 준결승 (2016) |
| 프랑스 오픈 | 2회전 (2017, 2020, 2022) |
| 윔블던 선수권 대회 | 2회전 (2023) |
| US 오픈 | 3회전 (2022) |
2. 테니스 경력
아드리앙 마나리노는 5세에 테니스를 시작하여 2004년 프로로 전향했다.[5] 2007년부터 꾸준히 그랜드 슬램 대회에 참가했으며, 2010년 US 오픈에서 첫 승을 거두었다. 2013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4라운드에 진출하며 주목받았다.[4]
2017년 ATP 월드 투어 단식 결승에 세 번 진출하고, ATP 월드 투어 마스터스 1000 8강에 오르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19년 리베마 오픈에서 첫 ATP 투어 우승을 차지했다.[35] 2020년부터 2023년까지는 최고의 시즌을 보냈는데, 2020년 ATP 챌린저 투어 우승과 ATP 투어 결승 진출, 2022년 윈스턴-세일럼 오픈 우승(투어 2승),[70] 2023년 홀 오브 페임 오픈, 아스타나 오픈, 소피아 오픈 우승(투어 3승 추가, 총 5승)을 기록했다.
2024년에는 유나이티드 컵 4강 진출에 기여하고, 호주 오픈 16강에 진출하며 세계 랭킹 17위에 올랐다.
2. 1. 2004-2012: 프로 전향 및 초기 경력
마나리노는 5세부터 테니스를 시작했으며, 마르셀로 리오스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2004년에 프로로 전향했다.[5]2007년 프랑스 오픈에서 와일드카드를 받아 그랜드 슬램 단식 예선에 데뷔했지만, 마린 칠리치에게 패했다. 연간 최종 랭킹은 324위였다.[5]
2008년 프랑스 오픈 단식 본선에서 와일드 카드를 받아 1라운드에서 디에고 훈케이라에게 패했다. 남자 복식에도 와일드 카드로 출전했으나 1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오픈 드 모젤에서는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폴앙리 마티유에게 패했다. 파리 마스터스 본선 1라운드에서는 드미트리 투르수노프에게 패했다. 11월에는 저지섬에서 열린 ATP 챌린저 투어에서 우승했다.[5] 12월 마스터스 프랑스에 참가했지만, 폴앙리 마티유, 미카엘 로드라, 아르노 클레망에게 모두 패했다. 연말 최종 랭킹은 134위였다.[5]
2009년 호주 오픈 단식 본선 와일드 카드를 받아 1라운드에서 페르난도 베르다스코에게 패했다.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마르크 지켈에게 패하며 첫 경기에서 탈락했다. 연말 최종 랭킹은 179위였다.[5]
2010년 US 오픈에서 그랜드 슬램 첫 승을 거두었지만, 2회전에서 페르난도 베르다스코에게 패했다. 10월에는 100위 안에 진입했다. 연말 최종 랭킹은 83위였다.
2011년 호주 오픈과 윔블던에서 2회전에 진출했으나, 각각 리샤르 가스케와 로저 페더러에게 패했다.[6] 7월에는 톱 50에 진입했다. 마드리드 오픈에서 마스터스 1000 첫 승을 거두었고, 파리 마스터스에서도 마스터스 2회전에 진출했다. 연간 최종 랭킹은 87위였다.
2012년 호주 오픈과 프랑스 오픈에서는 각각 후안 마르틴 델 포트로와 파비오 포니니에게 첫 경기에서 패했다. 연간 최종 랭킹은 192위였다.
2. 2. 2013-2016: 그랜드 슬램 4라운드 진출 및 복식 준결승
2013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 마나리노는 1라운드에서 파블로 안두하르를 꺾고 단 6게임만을 내주며 승리했다. 2라운드에서는 존 이스너가 무릎 부상으로 기권하면서 생애 처음으로 그랜드 슬램 단식 3라운드에 진출했다. 이후 더스틴 브라운을 꺾고 4라운드에 진출했으나, 우카시 쿠보트와의 5세트 접전 끝에 패했다.[4]2015년 마이애미 오픈에서는 3라운드에서 스타니슬라스 바브린카를 꺾었지만, 4라운드에서 도미니크 티엠에게 패했다.[5] 2015년 무투아 마드리드 오픈에서는 후안 세바스티안 카발과 함께 복식 8강에 진출했으나, 로한 보파나와 플로린 메르게아에게 패했다.[6]
2016년 오스트레일리아 오픈에서는 루카 푸유와 함께 복식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제이미 머레이와 브루노 소아레스에게 패했다.[7]

2. 3. 2017-2019: 첫 ATP 투어 우승
마나리노는 2017년에 좋은 성적을 거두기 시작했다. 2017 안탈리아 오픈에서 통산 세 번째 ATP 월드 투어 단식 결승에 진출했지만, 스기타 유이치에게 패했다.[7] 윔블던 선수권 대회 4라운드에서 노바크 조코비치에게 패했지만, 2017 로저스 컵에서 생애 첫 ATP 월드 투어 마스터스 1000 단식 8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7] 재팬 오픈에서는 생애 첫 ATP 월드 투어 500 시리즈 단식 결승에 진출했지만, 다비드 고팽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8]2018년, 마나리노는 시드니 인터내셔널 8강,[9] 호주 오픈 3라운드 진출[10] 등 꾸준한 활약을 이어갔다. 2018 데이비스컵 월드 그룹 1라운드 네덜란드와의 경기에서 데이비스컵 데뷔전을 치렀고, 로빈 하세를 꺾으며 프랑스의 승리에 기여했다.[11] 2018년 3월 19일에는 개인 최고 랭킹인 22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2019년, 마나리노는 로스말렌 잔디 코트 챔피언십 결승에서 조던 톰슨을 꺾고 ATP 투어 첫 우승을 차지했다.[35] 이후 주하이 챔피언십과 크렘린 컵에서 결승에 진출했지만, 각각 알렉스 드 미노와 안드레이 루블레프에게 패하며 준우승했다.[49][51]

2. 4. 2020-2023: 최고의 시즌
2020년 호주 오픈에서 마나리노는 1회전에서 제5시드 도미니크 팀에게 3-6, 5-7, 2-6으로 패했다.[55] 3월의 몬테레이 챌린저에서는 결승에서 알렉산다르 부키치를 6-1, 6-3으로 꺾고 ATP 챌린저 투어 14번째 우승을 차지했다.[61] 2020년 US 오픈에서는 제32시드로 출전하여 3회전에서 제5시드 알렉산더 즈베레프에게 패했다.[65] 2020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1회전에서 알베르트 라모스 비뇰라스에게 4-6, 3-6, 0-6으로 패했다.[67] 11월의 아스타나 오픈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존 밀먼에게 5-7, 1-6으로 패하며 투어 9번째 준우승을 기록했다.[70] 연말 최종 랭킹은 35위였다.2021년 호주 오픈에서는 32번 시드로 출전하여 3회전에서 6번 시드인 알렉산더 즈베레프에게 3-6, 3-6, 1-6으로 패했다. 로마 마스터스에서는 동료인 브누아 페어와 조를 이루어 8강에서 니콜라 메크티치/마테 파비치 조에게 4-6, 2-6으로 패했다. 2021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알야즈 베데네에게 5-7, 6-3, 5-7, 2-6으로 첫 경기에서 패했다. 마요르카 오픈에서는 4강에 진출했으나, 준결승에서 샘 퀘리에게 4-6, 3-6으로 패했다. 2021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1회전에서 6번 시드인 로저 페더러와의 경기 중 5세트 직전에 기권했다. 2021년 US 오픈에서는 2회전에서 스테파노스 치치파스에게 패했다. 연간 최종 랭킹은 71위였다.
2022년 호주 오픈에서는 10번 시드인 후베르트 후르카치를 2회전에서 6-4, 6-2, 6-3으로 꺾고, 3회전에서는 작년 4강 진출자인 18번 시드인 아슬란 카라체프를 꺾고 4회전에 진출했다. 4회전에서는 6번 시드인 라파엘 나달에게 6-7(14), 2-6, 2-6으로 패했다. 2022년 프랑스 오픈에서는 1회전에서 페데리코 델보니스에게 1-6, 6-7(1), 2-6으로 패했다. 2022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2회전에서 토미 폴에게 2-6, 4-6, 1-6으로 패했다.
윈스턴-세일럼 오픈에서는 결승에서 라스로 제레를 7-6(1), 6-4로 꺾고 3년 만에 투어 우승을 차지하며 투어 2승을 거뒀다. 2022년 US 오픈에서는 하이스 브라우어에게 3-6, 4-6, 4-6으로 첫 경기에서 탈락했다. 연간 최종 랭킹은 46위였다.
2023년 호주 오픈 1회전에서 존 이스너를 6-7(5), 7-6(8), 6-2, 6-2로 꺾었다. 2회전에서는 제22시드인 알렉스 드 미노어에게 6-7(3), 6-4, 4-6, 1-6으로 패했다. 2월, 댈러스 오픈과 델레이비치 오픈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 3월, BNP 파리바 오픈에서는 3회전에서 야닉 시너에게 6-7(7), 4-6으로 패했다. 마이애미 오픈에서는 4회전에서 크리스토퍼 유뱅크스에게 6-7(2), 6-7(5)로 패했다.
7월, 마요르카 선수권 대회에서는 결승에 진출했으나, 유뱅크스에게 1-6, 4-6으로 패해 준우승을 차지했다. 2023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2회전에서 제3시드인 다닐 메드베데프에게 3-6, 3-6, 6-7(5)로 패했다. 같은 달 하순, 홀 오브 페임 오픈에서는 결승에서 알렉스 미켈센을 6-2, 6-4로 꺾고 투어 3승을 거두었다. 8월, 웨스턴 & 서던 오픈에서는 준준결승에서 알렉산더 즈베레프에게 2-6, 3-6으로 패했다.
9월, 2023년 US 오픈 3회전에서 제10시드인 프랜시스 티아포를 4-6, 6-2, 6-3, 7-6(6)으로 꺾었다. 10월, 아스타나 오픈에서는 결승에서 세바스찬 코르다를 4-6, 6-3, 6-2로 꺾고 투어 4승을 거두었다. 11월, 소피아 오픈에서는 결승에서 잭 드레이퍼를 7-6(3), 2-6, 6-3으로 꺾고 투어 5승을 거두었다. 연간 최종 랭킹은 22위이다.
2. 5. 2024-: 톱 20 진입

유나이티드 컵에서 프랑스 대표로 출전하여 4강에 진출했다. 대회 후 20위권 안에 진입했다. 호주 오픈에서는 제20 시드로 출전하여 1회전에서 스탄 바브린카를 6-4, 3-6, 5-7, 6-3, 6-0, 2회전에서는 하우메 무나르를 6-3, 6-3, 1-6, 2-6, 6-3, 3회전에서는 제16 시드 벤 쉘턴을 7-6(4), 1-6, 6-7(2), 6-3, 6-4로 모두 풀 세트 접전 끝에 꺾고, 이 대회 두 번째 16강에 진출했다. 16강에서는 제1 시드 노바크 조코비치에게 0-6, 0-6, 3-6으로 완패했지만, 대회 후 세계 랭킹 17위를 기록했다. 2월의 2024 Dallas Open|댈러스 오픈영어에서는 4강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Giulio Zeppieri|마르코스 기론영어에게 1-6, 3-6으로 패했다. 프랑스 오픈에서는 Marcos Giron|마르코스 기론영어에게 6-4, 2-6, 1-6, 2-6으로 역전패하며 첫 경기에서 탈락했다. 윔블던 선수권 대회에서는 같은 국적의 가엘 몽피스에게 4-6, 6-3, 5-7, 4-6으로 패하며 첫 경기에서 탈락했다. US 오픈에서는 1회전에서 보르나 초리치를 5-7, 2-6, 3-6으로 꺾었지만, 2회전에서 다비드 고팽에게 7-6(8), 3-6, 2-6, 6-7(1)로 패했다. 청두 오픈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로렌초 무세티에게 2-6, 7-5, 2-6으로 패했다. 파리 마스터스에서는 2020년 이후 3회전에 진출했다. 3회전에서는 조던 톰슨에게 5-7, 6-7(5)로 패했다. 연간 최종 랭킹은 66위.
3. 경기 스타일
제시된 원본 소스에는 아드리앙 마나리노의 경기 스타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경기 스타일' 섹션에 내용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주어진 원본 소스는 주로 마나리노의 2021년 시즌 경기 결과에 대한 내용만을 담고 있다.
4. ATP 투어 결승
마나리노는 ATP 투어에서 단식 15회 결승에 진출하여 5번 우승하고 10번 준우승했으며, 복식에서는 1회 결승에 진출하여 준우승했다.
| 범례 |
|---|
| 그랜드 슬램 (0–0) |
| ATP 파이널 (0–0) |
| ATP 마스터스 1000 (0–0) |
| ATP 500 (0–1) |
| ATP 250 (5–9) |
| 코트 종류별 |
|---|
| 하드 (3–7) |
| 클레이 (0–0) |
| 잔디 (2–3) |
| 상황별 |
|---|
| 실외 (3–7) |
| 실내 (2–3) |
4. 1. 단식: 15회 (5승 10패)
| 결과 | 전적 | 날짜 | 대회 | 등급 | 코트 종류 | 상대 선수 | 점수 |
|---|---|---|---|---|---|---|---|
| 준우승 | 0–1 | 2015년 1월 | 오클랜드 오픈 (뉴질랜드) | ATP 250 | 하드 | 이르지 베셀리 | 3–6, 2–6 |
| 준우승 | 0–2 | 2015년 7월 | 콜롬비아 오픈 (콜롬비아) | ATP 250 | 하드 | 버나드 토믹 | 1–6, 6–3, 2–6 |
| 준우승 | 0–3 | 2017년 7월 | 안탈리아 오픈 (터키) | ATP 250 | 잔디 | 스기타 유이치 | 1–6, 6–7(4–7) |
| 준우승 | 0–4 | 2017년 10월 | 재팬 오픈 (일본) | ATP 500 | 하드 | 다비드 고팽 | 3–6, 5–7 |
| 준우승 | 0–5 | 2018년 6월 | 안탈리아 오픈 (터키) | ATP 250 | 잔디 | 다미르 주머 | 1–6, 6–1, 1–6 |
| 준우승 | 0–6 | 2018년 10월 | 크렘린컵 (러시아) | ATP 250 | 하드 (i) | 카렌 하차노프 | 2–6, 2–6 |
| 우승 | 1–6 | 2019년 6월 | 로스말렌 챔피언십 (네덜란드) | ATP 250 | 잔디 | 조던 톰슨 | 7–6(9–7), 6–3 |
| 준우승 | 1–7 | 2019년 9월 | 주하이 챔피언십 (중국) | ATP 250 | 하드 | 알렉스 드 미노어 | 6–7(4–7), 4–6 |
| 준우승 | 1–8 | 2019년 10월 | 크렘린컵 (러시아) | ATP 250 | 하드 (i) | 안드레이 루블레프 | 4–6, 0–6 |
| 준우승 | 1–9 | 2020년 11월 | 아스타나 오픈 (카자흐스탄) | ATP 250 | 하드 (i) | 존 밀먼 | 5–7, 1–6 |
| 우승 | 2–9 | 2022년 8월 | 윈스턴-세일럼 오픈 (미국) | ATP 250 | 하드 | 라스로 제레 | 7–6(7–1), 6–4 |
| 준우승 | 2–10 | 2023년 7월 | 마요르카 오픈 (스페인) | ATP 250 | 잔디 | 크리스토퍼 유뱅크스 | 1–6, 4–6 |
| 우승 | 3–10 | 2023년 7월 | 명예의 전당 오픈 (미국) | ATP 250 | 잔디 | 알렉스 미셸센 | 6–2, 6–4 |
| 우승 | 4–10 | 2023년 10월 | 아스타나 오픈 (카자흐스탄) | ATP 250 | 하드 (i) | 세바스찬 코르다 | 4–6, 6–3, 6–2 |
| 우승 | 5–10 | 2023년 11월 | 소피아 오픈 (불가리아) | ATP 250 | 하드 (i) | 잭 드레이퍼 | 7–6(8–6), 2–6, 6–3 |
4. 2. 복식: 1회 (1패)
2022년 아스타나 오픈에서 마나리노는 동료 파브리스 마르탱과 함께 첫 복식 결승에 진출했다.[114] 준결승에서 1번 시드인 팀 퓌츠/마이클 비너스 (테니스), 폴란드 조 후베르트 후르카치/얀 지엘린스키를 꺾었으나,[114] 결승에서 크로아티아 조이자 2번 시드인 니콜라 메크티치/마테 파비치에게 패했다.[115]
5. ATP 챌린저 및 ITF 퓨처스 결승
아드리앙 마나리노는 ATP 챌린저 투어와 ITF 퓨처스 대회에서 결승에 여러 번 진출했다.
| 범례 |
|---|
| ATP 챌린저 투어 (14승 7패) |
| ITF 퓨처스 (6승 5패) |
| 표면별 결승 |
|---|
| 하드 (19승 11패) |
| 클레이 (1승 1패) |
| 잔디 (0승 0패) |
| 카펫 (0승 0패) |
마나리노는 주로 하드 코트에서 강세를 보였으며, 클레이 코트에서도 몇 차례 결승에 진출했다.
5. 1. 단식: 32회 (20승 12패)
| 결과 | 승–패 | 날짜 | 대회 | 티어 | 표면 | 상대 | 점수 |
|---|---|---|---|---|---|---|---|
| 승리 | 1–0 | 2006년 4월 | 스페인 F11, 멜리야 | 퓨처스 | 하드 | 코믈라비 로그로 | 6–2, 6–3 |
| 승리 | 2–0 | 2006년 6월 | 스페인 F20, 산타 크루스 데 테네리페 | 퓨처스 | 하드 | 알베르트 라모스 비뇰라스 | 6–2, 6–0 |
| 패배 | 2–1 | 2006년 10월 | 프랑스 F19, 로데즈 | 퓨처스 | 하드 (실내) | 안드레이 골루베프 | 6–4, 1–6, 0–6 |
| 패배 | 2–2 | 2007년 9월 | 프랑스 F14, 플레지르 | 퓨처스 | 하드 (실내) | 토마스 오제르 | 6–7(3–7), 5–7 |
| 패배 | 2–3 | 2007년 10월 | 프랑스 F18, 라 로슈 쉬르 욘 | 퓨처스 | 하드 | 루카시 로솔 | 3–6, 6–3, 4–6 |
| 승리 | 3–3 | 2007년 10월 | 프랑스 F19, 로데즈 | 퓨처스 | 하드 (실내) | 바티스트 뒤피 | 6–1, 6–2 |
| 승리 | 4–3 | 2007년 11월 | 영국 F22, 선더랜드 | 퓨처스 | 하드 (실내) | 켄 스쿠프스키 | 6–4, 6–3 |
| 패배 | 4–4 | 2008년 1월 | 영국 F1, 선더랜드 | 퓨처스 | 하드 (실내) | 리차드 블룸필드 | 4–6, 3–6 |
| 승리 | 5–4 | 2008년 1월 | 영국 F2, 셰필드 | 퓨처스 | 하드 (실내) | 티모 니에미넨 | 3–6, 7–6(8–6), 6–2 |
| 패배 | 5–5 | 2008년 3월 | 프랑스 F4, 릴 | 퓨처스 | 하드 (실내) | 클레망 렉스 | 6–2, 6–7(3–7), 5–7 |
| 승리 | 6–5 | 2008년 9월 | 프랑스 F15, 플레지르 | 퓨처스 | 하드 (실내) | 장-크리스토프 포렐 | 4–6, 6–4, 6–2 |
| 패배 | 0–1 | 2008년 10월 | 렌, 프랑스 | 챌린저 | 하드 (실내) | 조슬랭 우아나 | 2–6, 3–6 |
| 승리 | 1–1 | 2008년 11월 | 저지, 영국 | 챌린저 | 하드 (실내) | 안드레아스 베크 | 7–6(7–4), 7–6(7–4) |
| 패배 | 1–2 | 2009년 4월 | 생 브리외, 프랑스 | 챌린저 | 클레이 (실내) | 조슬랭 우아나 | 5–7, 6–1, 4–6 |
| 패배 | 1–3 | 2009년 8월 | 세고비아, 스페인 | 챌린저 | 하드 | 펠리시아노 로페스 | 3–6, 4–6 |
| 패배 | 1–4 | 2010년 7월 | 레카나티, 이탈리아 | 챌린저 | 하드 | 스테판 볼리 | 0–6, 6–3, 6–7(5–7) |
| 패배 | 1–5 | 2010년 8월 | 세고비아, 스페인 | 챌린저 | 하드 | 다니엘 히메노 트라베르 | 4–6, 6–7(2–7) |
| 승리 | 2–5 | 2010년 8월 | 이스탄불, 터키 | 챌린저 | 하드 | 미하일 쿠쿠슈킨 | 6–4, 3–6, 6–3 |
| 승리 | 3–5 | 2010년 10월 | 몽스, 벨기에 | 챌린저 | 하드 (실내) | 스티브 다르시스 | 7–5, 6–4 |
| 패배 | 3–6 | 2012년 9월 | 이스탄불, 터키 | 챌린저 | 하드 | 드미트리 투르수노프 | 4–6, 6–7(5–7) |
| 승리 | 4–6 | 2013년 1월 | 누메아, 뉴칼레도니아 (프랑스) | 챌린저 | 하드 | 안드레이 마틴 | 6–4, 6–3 |
| 승리 | 5–6 | 2013년 3월 | 사라예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챌린저 | 하드 (실내) | 더스틴 브라운 | 7–6(7–3), 7–6(7–2) |
| 패배 | 5–7 | 2013년 4월 | 멕시코 시티, 멕시코 | 챌린저 | 하드 | 안드레이 마틴 | 6–4, 4–6, 1–6 |
| 승리 | 6–7 | 2014년 7월 | 만타, 에콰도르 | 챌린저 | 하드 | 귀도 안드레오지 | 4–6, 6–3, 6–2 |
| 승리 | 7–7 | 2014년 7월 | 세고비아, 스페인 | 챌린저 | 하드 | 아드리안 메넨데스 마세라스 | 6–3, 6–0 |
| 승리 | 8–7 | 2014년 9월 | 이스탄불, 터키 (2) | 챌린저 | 하드 | 이토 타츠마 | 6–0, 2–0 기권 |
| 승리 | 9–7 | 2014년 11월 | 녹스빌, 미국 | 챌린저 | 하드 (실내) | 샘 그로스 | 3–6, 7–6(8–6), 6–4 |
| 승리 | 10–7 | 2014년 11월 | 샴페인, 미국 | 챌린저 | 하드 (실내) | 프레데릭 닐센 | 6–2, 6–2 |
| 승리 | 11–7 | 2016년 1월 | 누메아, 뉴칼레도니아 (프랑스) (2) | 챌린저 | 하드 | 알레한드로 팔라 | 5–7, 6–2, 6–2 |
| 승리 | 12–7 | 2017년 1월 | 누메아, 뉴칼레도니아 (프랑스) (3) | 챌린저 | 하드 | 니콜라 밀로예비치 | 6–3, 7–5 |
| 승리 | 13–7 | 2017년 2월 | 킴페르, 프랑스 | 챌린저 | 하드 (실내) | 페터 고요프치크 | 6–4, 6–4 |
| 승리 | 14–7 | 2020년 3월 | 몬테레이, 멕시코 | 챌린저 | 하드 | 알렉산다르 부키치 | 6–1, 6–3 |
5. 2. 복식: 5회 (4승 1패)
에두아르 로제 바셀린 | 6–4, 7–5알렉상드르 르나르 | 6–7(5–7), 6–3, 7–5
다니엘 무뇨스 데 라 나바 | 6–2, 6–1
레오나르두 타바르스 | 6–1, 6–4
데니스 몰차노프 | 3–6, 3–6
